115. 친구 네트워크 (백준 4195)
반응형

 문제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4195

 

1253번: 좋다

첫째 줄에는 수의 개수 N(1 ≤ N ≤ 2,000), 두 번째 줄에는 i번째 수를 나타내는 Ai가 N개 주어진다. (|Ai| ≤ 1,000,000,000, Ai는 정수)

www.acmicpc.net

문제

민혁이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친구를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친구이다. 우표를 모으는 취미가 있듯이, 민혁이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친구를 모으는 것이 취미이다.

어떤 사이트의 친구 관계가 생긴 순서대로 주어졌을 때, 두 사람의 친구 네트워크에 몇 명이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친구 네트워크란 친구 관계만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사이를 말한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친구 관계의 수 F가 주어지며, 이 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다. 다음 F개의 줄에는 친구 관계가 생긴 순서대로 주어진다. 친구 관계는 두 사용자의 아이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길이 20 이하의 문자열이다.

출력

친구 관계가 생길 때마다, 두 사람의 친구 네트워크에 몇 명이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풀이

처음에는 Set을 통해 친구 네트워크를 유지하려 했는데, 메모리 초과에 걸렸다.

우선 문자열을 쉽게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하기 위해 HashMap으로 변환해준다.

그리고 생성되는 인덱스들을 ArrayList에 넣어준다 (초기값은 자기 자신)

이후 이전의 Union-Find를 활용하여 각 친구 관계를 엮어준다.

Find에서는 부모가 존재하게 되면 부모로 자식들의 노드를 전환시켜주고

이를 바탕으로 Union에서 둘을 엮어주면 된다.

이때 각 인덱스별 Size도 함께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노드의 개수를 반환해야 할 때 편하게 계산하도록 한다.

중간에 겹치는 친구가 존재한다면 Size를 더할 때 고려해야 되지 않는가 라고 생각이 들었지만,

사실 조금 생각해보면, 애초에 겹치는 친구 존재 -> 같은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합치는 과정이 필요가 없다.

 코드(JAVA)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F;
    static HashMap<String, Integer> friendNum;
    static ArrayList<Integer> friendParentNum;
    static ArrayList<Integer> friendSiz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int i=0; i<N; i++){
            F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idx = 0;
            friendNum = new HashMap<>();
            friendParentNum = new ArrayList<>();
            friendSize = new ArrayList<>();

            for(int j=0; j<F; j++){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tring fA = st.nextToken();
                String fB = st.nextToken();
                int fAidx, fBidx;

                if(!friendNum.containsKey(fA)){
                    friendNum.put(fA, idx);
                    friendSize.add(idx, 1);
                    friendParentNum.add(idx,idx);
                    idx++;
                }

                if(!friendNum.containsKey(fB)){
                    friendNum.put(fB, idx);
                    friendSize.add(idx, 1);
                    friendParentNum.add(idx,idx);
                    idx++;
                }

                fAidx = friendNum.get(fA);
                fBidx = friendNum.get(fB);

                System.out.println(union(fAidx, fBidx));
            }
        }
    }

    public static int find(int idx){
        if(friendParentNum.get(idx) == idx){
            return idx;
        }
        friendParentNum.set(idx, find(friendParentNum.get(idx)));
        return friendParentNum.get(idx);
    }

    public static int union(int a, int b){
        a = find(a);
        b = find(b);

        //둘이 다른 경우
        if(a != b) {
            //a에 b추가
            friendSize.set(a, friendSize.get(a) + friendSize.get(b));
            friendParentNum.set(b,a);
        }
        return friendSize.get(a);
    }
}

 결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