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CePWI%2FbtqSELLjjbg%2F15y2iAFswNXW6kPtI7XxOk%2Fimg.png)
DI (Dependency Injection) Spring에서 적용하기
DI (Dependency Injection) 스프링에 들어가기 앞서, 스프링의 기본 원리인 DI에 대해 살펴보자. 보통 클래스로부터 객체 생성, 이때 이 객체(X)가 여러 객체(Y, Z)에 의존관계가 있을때 (Y, Z 객체를 사용할 때) 1) 객체 X가 필요할 때 직접 Y, Z를 생성 2) 외부에서 객체 Y, Z를 생성하고 X객체에서 사용 이때 2번처럼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해 넣는 것을 주입(Injection)이라 한다. 따라서 의존성을 주입한다 해서 DI(Dependency Injection)인 것이다. 이런 DI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재사용성 증가 코드 읽기 쉬움, 단순화 더 많은 테스트 코드 종속성 감소 (엮인 관계가 적음 -> 변경시 조금만 바꾸면 됨) [활용예시 1. setter] class ..
Comment